
오늘의 주식 공부!
바로 ROE, PER, PBR이 무엇일까요?
우리가 가치투자를 하거나 투자를 할 기업을 선택을 할 때 보통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고 확인을 합니다.
이 기업이 돈은 잘 벌고 있을까?
이 기업의 주가는 재무상태에 비해서 고평가일까? 저평가일까?
등등.. 기업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것들이 바로 ROE, PER, PBR 입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기업이 자기자본을 이용하여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
만약, ROE가 10%이면 100억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0억원의 이익을 냈다.
ROE가 20%이면 10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0억원의 이익을 냈다.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자본대비 해서 많이 벌면 좋으니까 ROE는 높을수록 이 회사가 돈을 잘 버네~ 혹은 이 사장,임원들 기업 운영 잘하네~
라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주가가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주가수익비율(PER) = 주가 / 1주당 순이익 (EPS)
쉽게 이야기 할 때, 몇 년간 돈을 벌면 이 기업을 살 수 있는가를 이야기 한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이 낮게 나타납니다.
PER가 낮으면 저평가주라고 흔히 이야기를 하고요.
업종별로 PER의 평균치가 다르기 떄문에 단순히 숫자로만 봐서 저평가, 고평가를 이야기하기에는 안맞는 부분들도 있지만
보통 PER 10 이하 일 경우 저PER 주식이다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BPS)
1주당 순자산(부채를 제외한 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주당 순자산가치가 주가보다 높으면 PBR은 1 이하가 되고, 주가가 주당 순자산가치보다 높으면 PBR은 1 이상이 됩니다.
PBR이 1이상이라면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더 높다라는 것이기 때문에 고평가라고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기업의 주가가 2만원이고, 주당 순자산가치가 4만원이라면 PBR은 0.5가 됩니다.
그러면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서 주가가 낮다고 판단하여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들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HTS, MTS에서도 편하게 볼 수 있지만, 네이버 증권을 보시게 되면 재무 및 다양한 정보들을 받을 수 있답니다.
네이버 증권 들어가기

위 재무제표는 제가 애증하는 아진산업의 재무제표입니다.
여기서 ROE, PER, PBR을 확인할 수 있죠?
21년에 비해 22년의 ROE는 증가했고, 분기별로 확인해도 22년 9월부터 ROE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구나라고 확인을 합니다.
(즉, 돈을 점점 더 많이 벌고 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PER을 확인하시면 연간 PER도 21년에 비해 22년의 PER이 대폭 낮아졌구나, 분기별로 확인해도 PER이 점점 낮아지고 있으니 기업의 순이익은 점점 늘어나는데 주가에 반영이 되고있지 않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PBR은 전반적으로 1이하이기 때문에 순자산가치에 비해서 주가가 낮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3개의 수치를 보면 엄청 저평가임에 분명하지만... 이번 반기보고서에서 어닝쇼크와 직원의 약70억 횡령으로 인하여 주가가 폭락하였답니다..
재무제표는 꼭 확인을 해야하는 수치이지만, 주가는 다르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다시 한 번 배우고 갑니다 ㅠ
저와 같은 주린이분들은 재무제표에서 꼭 ROE, PER, PBR 한 번 확인해보고 가세요^^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투자가 힘든 이유 (0) | 2023.09.05 |
---|---|
가치투자란 무엇인가? (투자의 방향) (0) | 2023.08.24 |
코스피 코스닥 뜻, 차이 (0) | 2023.08.22 |
다트(DART) 전자공시시스템 공시, 사업보고서 확인하는 법 (0) | 2023.08.21 |
주식 책 추천 도서 top 3 (0) | 2023.08.21 |
댓글